리액트로 만든 FE와 스프링부트로 만든 BE를 어떻게 연동하지 라는 생각을 하며 구글링을 하다가 어려워서
HTTP에 관해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HTTP 완벽가이드 책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URI : 서버 리소스(리소스란 웹서버에 있는 사진파일, 텍스트파일 등의 콘텐츠들) 이름, 인터넷의 우편물 주소 같은 것으로 정보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할 수 있음. 프로토콜, 서버,리소스를 명시함.(URL과 URN이 있음)
HTTP 메서드 : 서버에게 어떤 동작이 취해져야하는지 말해줌 GET,PUT,DELETE,POST,HEAD 등이 있음(각각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몰라서 나중에 정리예정)
HTTP 상태코드 : 모든 HTTP 응답 메시지는 상태코드와 함께 반환됨
HTTP 상태코드 200 -> 좋다, 문서가 바르게 반환됨
302 -> 다시 보내라. 다른 곳에 가서 리소스를 가져가라
404 -> 없음,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(404에러 종종 본 적이 있다. 보여지는 쪽 파일이 없거나 인식을 못할 때 이 에러가 뜨는 것같았다.)
프락시 :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의 모든 HTTP 요청을 받아 서버에 전달함. 웹 보안, 애플리케이션 통합, 성능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, 주로 보안을 위해 사용됨, 요청과 응답을 필터링함, 회사에서 무엇인가를 다운 받을 때 애플리케이션 바이러스를 검출하거나 초등학생에게서 성인 콘텐츠를 차단함.
'CS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socket 과 polling, long-polling (0) | 2023.09.01 |
---|---|
쿠키가 무엇일까? (0) | 2023.07.24 |
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후기 (0) | 2023.04.23 |
HTTP 상태 코드 (200,201,204의 차이) (0) | 2022.10.05 |
메모리 구조(스택과 힙) (0) | 2022.08.17 |
댓글